삼성전자가 EUV(극자외선) 기술을 기반으로 ‘5나노 공정’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화성캠퍼스 EUV 라인 전경
화성캠퍼스 EUV 라인 전경
또한 4월 안에 7나노 제품을 출하하고 올해 내에 양산을 목표로 6나노 제품 설계를 완료하는 등 초미세 공정에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초미세 공정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파운드리 기술 리더십과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시스템 반도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 역량 강화를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발전과 시스템 반도체 산업 육성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5나노 초미세 공정… 더 작고 전력도 적게 소비하는 반도체 생산
삼성전자가 이번에 개발한 차세대 ‘5나노 공정’은 셀 설계 최적화를 통해 기존 7나노 공정 대비 로직 면적을 25% 줄일 수 있으며, 20% 향상된 전력 효율 또는 10%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7나노 공정에 적용된 설계 자산(IP, Intellectual Property)을 활용할 수 있어 기존 7나노 공정을 사용하는 고객은 5나노 공정의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7나노 이달 중 출하… 6나노는 설계 완료해 연내 양산 계획
삼성전자는 7나노와 6나노 파운드리 공정에서도 양산을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업계 최초로 EUV 공정을 적용한 7나노 제품 양산을 시작했으며 4월 중에 본격 출하할 계획이다.
6나노 공정 기반 제품에 대해서는 대형 고객과 생산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제품 설계가 완료되어(Tape-Out) 올해 하반기 양산할 예정이다.
이번 초미세 공정의 기반이 된 EUV(극자외선) 기술은 기존 불화아르곤 (ArF)보다 파장의 길이가 짧은 EUV 광원을 사용해 보다 세밀한 반도체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로 인해 회로를 새기는 작업을 반복하는 멀티 패터닝(Multi-Patterning) 공정을 줄여 성능과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멀티 프로젝트 웨이퍼(MPW)·에코시스템(SAFE) 지원 통해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
삼성전자가 첨단 초미세 공정 파운드리 생산의 핵심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가 강화되는 동시에 시스템 반도체 역량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운드리 사업은 반도체 장비, 소재, 디자인, 패키징, 테스트 등 다양한 전문 업체들이 함께 성장해야 하므로 전후방 연관 효과가 크다.
삼성전자는 1장의 웨이퍼에 여러 종류의 반도체 제품을 생산하는 ‘MPW(Multi Project Wafer) 서비스’를 최신 5나노 공정까지 확대 제공해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최첨단 반도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삼성전자 파운드리 지원 프로그램인 ‘SAFE TM(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를 통해 설계 자산(IP) 외에도 공정 설계 키트(PDK, Process Design Kit), 설계 방법론(DM, Design Methodologies), 자동화 설계 툴(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등 5나노 공정 기반 제품 설계를 돕는 디자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팹리스 고객들은 이를 활용해 보다 쉽고 빠르게 제품을 설계할 수 있고 신제품 출시 시기도 앞당길 수 있다.
삼성전자의 이런 서비스와 생산기술은 국내 팹리스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시스템 반도체를 내놓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전략마케팅팀 배영창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EUV 기반 최첨단 공정은 성능과 IP 등에서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어 5G, AI, 전장 등 신규 응용처를 중심으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며 “향후에도 첨단 공정 솔루션으로 미래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신 파운드리 생산시설인 화성캠퍼스 S3 라인에서 EUV 기반 최첨단 공정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건설 중인 화성캠퍼스 EUV 전용 라인을 2020년부터 본격 가동해 고객과 시장의 요구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분류 전체보기
- 삼성전자, 최첨단 5나노 파운드리 공정 개발 2023.11.25
- 삼성전자, ‘하만’ 글로벌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4년 연속 1위 2023.11.25
- 삼성전자, 갤럭시 최초 로테이팅 카메라 탑재 ‘갤럭시 A80’ 공개 2023.11.25
- 삼성전자, 2019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연구과제 선정 2023.11.25
- 삼성전자, 게이밍 노트북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 2019년형 신제품 출시 2023.11.25
- 삼성전자, 듀얼 QHD 게이밍 모니터 ‘CRG9’ 국내 전격 출시 2023.11.25
- 삼성전자, 2019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2023.11.25
- 삼성전자, 5G 토탈 모뎀 솔루션 출시 2023.11.25
- 삼성전자, 한국 주거환경에 최적화된 무선청소기 ‘파워봇’·‘파워스틱’ 출시 2023.11.25
- 삼성전자, ‘무풍에어컨’ 갤러리 라인업 확대 2023.11.25
삼성전자, 최첨단 5나노 파운드리 공정 개발
삼성전자, ‘하만’ 글로벌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4년 연속 1위
삼성전자가 2016년에 인수한 하만이 글로벌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4년 연속으로 1위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2016년에 인수한 하만이 글로벌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4년 연속으로 1위를 달성했다
삼성전자가 2016년에 인수한 하만이 글로벌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4년 연속으로 1위를 달성했다
시장조사업체 퓨처소스 컨설팅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하만의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인 JBL과 하만카돈은 지난해 무선 스피커 시장에서 수량 기준 35.7%의 점유율을 기록해, 2015년부터 4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하만은 60년 이상 축적한 음향 기술과 혁신적인 디자인을 접목한 제품으로 무선 스피커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하만은 업계 리딩 브랜드로서 △방수 성능 △연속 재생 시간 △휴대성과 연결성 등을 개선시키는 혁신을 거듭하며 다양한 라인업을 꾸준히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전 세계 소비자들로부터 사랑 받고 있는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라이트쇼와 360 사운드를 동시에 즐길수 있는 JBL‘펄스3’ △진공관 디자인이 독특한 하만카돈 ‘오라 스튜디오2(AURA STUDIO 2)’ △유니크한 디자인과 휴대성을 고루 갖춘 ‘오닉스 스튜디오 5(ONYX STUDIO 5)’등이 있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하만 오디오 제품의 소비자 접점 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 초부터 유동인구가 많은 스타필드 하남에 프리미엄 사운드 전용 체험관 ‘하만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으며, 삼성 디지털프라자 대치점·현대백화점 킨텍스점· 하이마트 월드타워점 등 수도권 주요 지역 9곳에 ‘하만 청음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또한 한국의 1인 방송 트렌드에 주목해 한국 시장에 특화된 ‘1인 라이브 패키지’를 출시한바 있다. 하만 라이브 패키지는 ‘하만 프로 오디오’ 제품군 중 AKG P120 마이크, 사운드크래프트(Soundcraft) 노트패드-5(NOTEPAD-5) 믹싱콘솔, JBL 305P MKⅡ 스피커 2개가 포함됐으며, 구매 시 추가 구성품으로 SPC-B900W 웹캠, 마이크용 ‘팝 필터’와 스탠드 등을 증정한다.
삼성전자 한국총괄 이강협 전무는 “하만 오디오 제품은 오디오 명가다운 압도적인 사운드와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켜 왔다”며 “한국에서도 소비자들의 요구에 귀기울여 그 명성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최초 로테이팅 카메라 탑재 ‘갤럭시 A80’ 공개
삼성전자가 현지시간 10일 태국 방콕에서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 등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 갤럭시 이벤트(A Galaxy Event)’를 개최하고, 갤럭시 최초로 로테이팅 카메라를 탑재한 ‘갤럭시 A80’를 전격 공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IM부문장 고동진 사장이 A 갤럭시 이벤트에서 갤럭시 최초로 로테이팅 카메라를 탑재한 갤럭시 A80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IM부문장 고동진 사장이 A 갤럭시 이벤트에서 갤럭시 최초로 로테이팅 카메라를 탑재한 갤럭시 A80을 소개하고 있다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삼성전자 IM부문장 고동진 사장은 “삼성전자는 의미 있는 혁신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갤럭시 A80’는 셀피 시대를 넘어 일상생활의 순간순간을 즉시 공유하는 ‘라이브 시대’를 사는 소비자들에게 최상의 모바일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 A80’는 갤럭시 최초로 동일한 카메라를 전후면 촬영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로테이팅 카메라와 ‘인텔리전트 카메라’를 탑재해 보다 생생하게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 A80’는 스마트폰 후면에 4,800만 화소 기본 카메라와 3D 심도 카메라, 초광각 카메라를 탑재했다. 사용자가 셀피 촬영을 위해 모드를 전환하면 후면 상단이 위로 올라가면서 카메라가 전면 방향으로 자동 전환된다. 사용자는 ‘갤럭시 A80’ 로테이팅 카메라로 셀피 모드에서도 후면과 동일한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갤럭시 A80’의 4800만 화소 기본 카메라는 낮과 밤에 상관없이 선명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며, 사람의 시야각과 유사한 화각 123도의 8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를 탑재해 사용자가 보고 있는 장면 그대로 기록할 수 있다.
4800만 화소 기본 카메라와 초광각 카메라를 함께 사용해 자유자재로 보케(Bokeh)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라이브 포커스(Live Focus)’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D 심도 카메라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영상에 보케 효과를 주는 라이브 포커스 동영상은 물론, AR 기반으로 물체의 길이 등을 측정하는 간편 측정 기능을 제공한다.
‘갤럭시 A80’는 인물, 풍경, 음식 등 30개의 촬영 장면 자동으로 인식해 최적의 색감으로 촬영해주는 ‘인텔리전트 카메라’ 기능을 탑재했으며, 인물이 눈을 감거나 흔들려서 선명하게 촬영되지 않은 것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줘 매 순간 완벽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갤럭시 A80’는 흔들림 없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슈퍼 스테디(Super Steady)’ 기능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전문 카메라 수준의 부드러운 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로테이팅 카메라를 탑재한 ‘갤럭시 A80’는 새로운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Infinity Display)로 시야에 방해가 없는 진정한 풀 스크린 경험을 제공한다.
6.7형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 게임이나 동영상, 사진의 디테일까지 생생하게 즐길 수 있으며,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해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스피커를 사용하면 360도 오디오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갤럭시 A80’는 3,700mAh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25W 초고속 충전을 지원하며, 사용자별 라이프스타일과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학습해 배터리 사용시간과 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를 최적화해 준다.
‘갤럭시 A80’에서는 모바일 보안 플랫폼 녹스(KNOX)를 기반으로 한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디스플레이에 탑재되어 지문 정보로 비밀번호 없이 웹사이트나 서비스 로그인이 가능한 삼성 패스를 지원한다.
‘갤럭시 A80’는 팬텀 블랙(Phantom Black), 엔젤 골드(Angel Gold), 고스트 화이트(Ghost White)의 세 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특히 엔젤 골드 모델은 핑크, 고스트 화이트 모델은 블루 색상을 가미해 빛의 방향과 반사에 따라 색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삼성전자, 2019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연구과제 선정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삼미술)’이 상반기 지원할 44개 연구과제를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김성근 이사장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김성근 이사장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기초과학 16개, 소재기술 11개, ICT 분야 17개로 연구비 617억이 지원된다.
삼성전자는 향후 AI, 5G, 로봇 등 미래기술뿐만 아니라, 더 나은 삶을 위해 환경, 난치병 등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과학연구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2013년 8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기초과학)과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소재기술, ICT)를 설립해 추진해 온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517개 연구과제에 총 6667억원을 지원했다.
한편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에는 서울대학교 화학부 김성근 교수가 내정됐다.
◇2019년 상반기 연구과제 44개 선정… AI, 로봇, 암치료 메커니즘 등 미래 신기술 연구
삼성전자는 2019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된 44개 연구과제를 발표했다.
<기초과학>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글로벌 수준에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 과제 16개가 선정됐다.
유니스트(UNIST) 이자일 교수팀은 방사선이나 바이러스 등 다양한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암치료제 개발에 활용가능한 기초기술을 연구하는 ‘크로마틴 구조에서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 연구’를 진행한다.
현대 입자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로 꼽히는 ‘소립자의 한 종류인 강입자의 질량 측정’과 관련된 연구(연세대학교 이수형 교수)도 포함됐다.
이수형 교수팀은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대전에 설치된 라온 중이온가속기 등을 활용해 국내외 입자가속기 실험 연구자들과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플로어 이론을 이용한 사교기하학 연구와 천체역학으로 응용’이라는 연구 과제로 신청한 고등과학원(KIAS) 김준태 박사는 박사후(Post-Doc) 과정 연구자로서는 처음으로 연구책임자로 선정됐다
<소재 기술>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사회적 관심이 높은 환경 이슈와 관련된 과제 등 총 11개가 선정됐다.
‘멀티 오염물 제거 다기능 필터(멤브레인)’ 연구(성균관대학교 정현석 교수)는 중금속, 유기물 등 다양한 수질 오염원을 한번에 정화할 수 있는 필터를 개발해 소형화가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농축수가 생기지 않는 담수화 기술’ 관련 연구(한양대학교 곽노균 교수)는 해수담수화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은 소금 재결정화 대신 고가의 합금을 합성하는 새로운 개념의 장치를 연구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면서 물이 필요한 곳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ICT(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는 AI, 머신러닝, 양자컴퓨터 등 미래 핵심기술을 연구하는 17개 과제를 선정했다.
연세대학교 유기준 교수팀은 입 주변과 성대의 미세한 근육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피부 부착형 센서와 딥러닝 기반의 단어 변환 알고리즘을 개발해 청각·발화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고민첩·고적응 로봇 메커니즘의 창의적 위상설계 기술’ 연구(서울대학교 김윤영 교수)는 지금까지의 설계자의 직관에 의존해 수동으로 설계되던 로봇을 인공지능을 이용해 시행착오 없이 정밀한 로봇을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어, 국내 로봇 산업 발전에 획기적으로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 김태현 교수팀은 ‘머신러닝을 통해 새로운 양자 알고리즘 개발과 하드웨어 최적화 연구’를 통해 차세대 컴퓨팅 기술인 양자컴퓨터 분야의 연구 저변을 확대하고 국제적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광명 박사팀은 ‘초소형 LED 뇌종양 치료 시스템’ 연구에서 외과적 수술, 방사선 수술, 약물 치료 등이 어려운 뇌종양을 항암제와 약물 조절장치, 센서가 탑재된 LED를 삽입해 뇌종양을 정밀하게 치료하고 뇌혈관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종료된 과제 중 성과가 우수하고 학술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파급력이 기대되는 과제는 후속 연구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번에는 고등과학원 강남규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함시현 교수 등 3개 과제가 후속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장 음두찬 상무는 “이번에 선정된 과제에는 AI, 5G, 로봇 등 미래 기술 연구뿐만 아니라, 난치병 치료를 돕는 연구나 사회적 약자와 공익을 위한 과제도 다수 포함됐다”며 “향후 환경, 난치병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연구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김성근 교수,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신임 이사장 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9일 이사회를 열고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김성근 교수를 신임 이사장으로 내정했다. 신임 김성근 이사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승인 후 정식으로 임명될 예정이다.
김 이사장은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화학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4년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장을 지냈다.
김 이사장은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제1회 국가석학에 선정됐으며 2013년 영국 왕립화학회 펠로우(Fellow of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FRSC)로 선임됐다.
국제학술지 ‘물리화학 화학물리(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편집장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도 역임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김성근 이사장은 “국가의 기초과학 발전과 산업기술 혁신에 기여하고, 과학적·산업적 파급력이 크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미래 과학기술의 토대를 마련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한차원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13년부터 517개의 연구과제에 총 6667억원의 연구비 지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마음 놓고 어려운 문제에 도전해 볼 수 있는 유연한 평가·관리 시스템을 통해 연구과제가 국내 기업 혁신이나 창업 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국내 민간기업 최초의 연구지원사업으로 국가에서 지원하기 힘든 도전적인 연구를 지원하고 우수한 신진 연구자를 발굴하는 효과를 거두며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부터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정보통신기술) 등 3개 연구 분야에서 미래를 책임지는 과학 기술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기초과학 분야 180개, 소재기술 분야 160개, ICT 분야 177개 등 517개의 연구과제에 총 6667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스텍(POSTECH) 등 국내 대학들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등과학원(KIAS) 등 공공연구소 46개 기관에서 교수급 1133명을 포함해 8657명이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연구과제 수행 중에 산업계와 정보 교류를 할 수 있는 R&D 교류회, 특허확보 멘토링, 창업과 사업화를 위한 전문가 컨설팅 등 사업화 촉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게이밍 노트북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 2019년형 신제품 출시
삼성전자가 강력한 성능과 혁신적인 발열 제어 시스템을 탑재해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 게이밍 노트북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Odyssey)’ 2019년형 신제품을 8일 출시한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 광고 영상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는 메탈 디자인에 발열 제어 성능을 대폭 향상한 ‘제트 블레이드 쿨링 시스템(Jet Blade Cooling System)’을 적용해 최적의 성능으로 고사양 게임을 장시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강력한 발열 제어가 가능한 제트 블레이드 쿨링 시스템을 적용했다. CPU와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쿨링팬으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추가 탑재해 방열 면적을 기존보다 약 40% 늘려 냉각 효과를 극대화했다. 0.25mm 두께의 ‘제트 블레이드(Jet Blade)’ 83개를 장착한 2개의 ‘제트 블레이드 블로어(Jet Blade Blower)’를 통해 기존보다 약 15% 더 많은 공기를 배출한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는 최신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RTX™ 2060, 8세대 인텔® 코어™ i7 헥사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해 고사양 게임도 최적의 환경으로 즐길 수 있으며 144Hz 고주사율과 NVIDIA® G-SYNC™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끊김 없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를 탑재해 풍부하고 입체적인 사운드 경험을 제공한다. 게임 시 헤드폰을 착용하면 시야 밖에서 나는 소리의 방향까지 확인할 수 있다.
제품 외관 디자인에는 단단한 메탈을 적용했으며, 강하고 아름다운 고대 다마스쿠스 검 특유의 물결 무늬를 형상화한 패턴을 디자인 요소로 담아냈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에는 제품의 성능을 최대 15% 향상시켜주는 ‘비스트(Beast) 모드’를 탑재해 고사양 게임도 원활하게 즐길 수 있다.
게임 화면의 어둠 속 적까지 놓치지 않도록 블랙 레벨 값을 조절할 수 있는 블랙 이퀄라이저(Black Equalizer) 기능을 탑재했으며, 1인칭 슈팅 게임(FPS), 실시간 전략 게임(RTS), 롤플레잉 게임(RPG),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AOS) 등 각 게임 장르에 맞춘 최적화된 화질 설정 기능도 제공한다.
이 밖에도 비스트 모드, 블랙 이퀄라이저, 돌비 애트모스® 등의 설정을 사전에 프로파일로 지정하고 Fn+F11 단축키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는 ‘오디세이(Odyssey) 모드’를 지원한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는 15.6형(39.6cm) 모델로 메모리와 운영체제, SSD 등 세부 사양에 따라 248만원~298만원이다.
삼성전자, 듀얼 QHD 게이밍 모니터 ‘CRG9’ 국내 전격 출시
삼성전자는 게이밍 모니터 최초로 듀얼 QHD(5120 x 1440) 해상도가 적용된 49형 QLED 게이밍 모니터‘CRG9’을 8일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삼성 듀얼 QHD 게이밍 모니터 CRG9
삼성 듀얼 QHD 게이밍 모니터 CRG9
‘CRG9’ 모델은 기존의 ‘CHG90’의 더블 풀HD(3840 x 1080) 제품 대비 약 두 배 더 선명하다.
32대 9의 슈퍼 울트라 와이드 화면 비율과 1800R 곡률의 커브드 광시야각 패널이 적용돼 고화질의 콘텐츠를 몰입감 있게 즐길 수 있으며, QLED 기술과 최대 1000니트(nit) 밝기를 적용해 더욱 정교한 색 표현이 가능해졌다. (DCI-P3 색 영역을 95%까지 표현)
또한 △120Hz 고주사율로 부드럽게 화면을 전환해 이미지 잔상을 최소화하고 △AMD 프리싱크 2(FreeSync 2) 기술을 탑재해 게임 도중 화면의 끊김이나 잘림 현상을 없애주며 △게임에 맞는 색 대비와 색상톤을 알아서 설정해주는 ‘게임 컬러 모드’ △1인칭 슈팅 게임 시 적중률을 높여주는 ‘가상 표적 기능’ 등을 탑재해 게임에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이 제품은 PBP(Picture-by-Picture) 기능을 통해 노트북과 데스크탑처럼 서로 다른 두 대의 기기에서 나오는 신호를 하나의 화면에서 양쪽으로 나누어 보여주는 멀티 태스킹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고, 블루라이트를 줄여주는 ‘아이 세이버 모드’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눈의 피로를 최소화해 준다.
한편, ‘CRG9’ 모니터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인 ‘CES 2019’에서 컴퓨터 주변 기기 부문 ‘최고 혁신상’과 게이밍 부문 ‘혁신상’을 동시에 수상한 바 있으며, 영상전자표준위원회(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로부터 DisplayHDR 1000 표준 인증을 획득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DisplayHDR 1000: VESA가 규정하는 디스플레이의 HDR(High Dynamic Range) 규격 중에 최상위 레벨로 최대 1000니트의 밝기(일반 모니터의 3배 이상의 밝기)에서도 10bit의 컬러와 높은 명암비 지원.
삼성전자는 2016년에 처음으로 게이밍 모니터를 출시한 이래 커브드 대화면 트렌드를 이끌며 국내 게이밍 모니터 시장 1위를 수성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8년 국내 게이밍 모니터(주사율 100Hz 이상) 시장에서 점유율 39.2%로 1위를 차지했으며, 누적 판매대수는 최근 3년 동안 글로벌 100만대, 국내 10만대를 돌파했다.
글로벌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향후 5년간 매년 평균 14.8%씩 빠르게 성장해 2023년 기준 출하량은 천만대 이상, 금액은 27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석기 부사장은 “‘CRG9’는 사용자에게 고화질의 몰입감 있는 화면으로 최고의 게임 환경을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제품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프리미엄 게이밍 모니터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RG9’ 신제품 출고가는 149만원이다.
삼성전자, 2019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삼성전자가 연결기준으로 매출 52조원, 영업이익 6.2조원의 2019년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 실적의 경우 전기 대비 매출은 12.27%, 영업이익은 42.59% 감소했고, 전년 동기 대비도 매출은 14.13%, 영업이익은 60.36% 감소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선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 왔다.
삼성전자, 5G 토탈 모뎀 솔루션 출시
삼성전자가 ‘엑시노스 모뎀 5100’과 함께 무선 주파수 송수신 반도체 ‘엑시노스 RF 5500’과 전력 공급 변조 반도체 ‘엑시노스 SM 5800’을 양산하며 5G 토탈 모뎀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삼성전자 5G 토탈 모뎀 솔루션
삼성전자 5G 토탈 모뎀 솔루션
모뎀과 RF칩, SM칩은 초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기술 핵심 반도체다.
모뎀칩이 휴대폰의 음성, 데이터 정보를 신호로 변환하거나 외부의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해준다면 RF칩은 신호를 전파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전파 신호를 더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전압을 조정해 주는 것이 SM칩이다.
‘엑시노스 RF 5500’과 ‘엑시노스 SM 5800’ 기술은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국제반도체기술학회(ISSCC) 2019’에서 우수 제품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엑시노스 5G 모뎀’과 함께 차세대 5G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탑재될 예정이다.
◇‘엑시노스 RF 5500’, 하나의 칩으로 2G부터 5G까지 구현
RF 트랜시버(Radio Frequency Transceiver)는 모뎀에서 나오는 음성과 데이터 신호를 외부에 전송이 가능한 주파수로 바꿔 모바일 기기와 기지국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반도체다.
‘엑시노스 RF 5500’은 2세대부터 6기가헤르츠(GHz) 이하 5세대통신 표준까지 하나의 칩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단말기 설계시 공간 부담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데이터 전달 속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엑시노스 RF 5500’에 4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4×4 MIMO(다중안테나) 기술’과 주파수 변복조 방식인 ‘256QAM(직교 진폭 변조)’ 기술을 적용했다.
◇‘엑시노스 SM 5800’으로 배터리 소모 최적화
RF가 통신기지국에 데이터를 발신하기 위해서는 전력 증폭 반도체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력 공급 변조 반도체(SM)는 신호증폭에 필요한 전압을 조절해 배터리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엑시노스 SM 5800’은 최대 100메가헤르츠(MHz) 무선 대역폭을 지원해 데이터 전송량이 큰 5G 통신에서도 효율적인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통신기지국 간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 전압을 최적화해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소모를 최대 30% 개선한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장 강인엽 사장은 “삼성전자는 첨단 5G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다”며 “삼성 엑시노스 5G 솔루션은 강력한 성능과 전력 효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 세대별 이동통신 표준을 지원해 어디서든 끊김 없는 연결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4기가헤르츠(GHz) 이상 초고주파 대역(mmWave)을 지원하는 RF 트랜시버와 위상배열(Phase Array) 제품의 상용화를 추진하는 한편 추후 모뎀을 프로세서에 통합한 차세대 5G 반도체도 선보일 계획이다.
삼성전자, 한국 주거환경에 최적화된 무선청소기 ‘파워봇’·‘파워스틱’ 출시
삼성전자가 2월 출시한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제트’에 이어 한국형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청소기 ‘파워봇’과 핸디 겸용 스틱 청소기 ‘파워스틱’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삼성전자가 한국형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청소기 파워봇과 핸디 겸용 스틱 청소기 파워스틱 신제품을 출시했다
삼성전자가 한국형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청소기 파워봇과 핸디 겸용 스틱 청소기 파워스틱 신제품을 출시했다
‘파워봇’은 강한 흡입력과 97mm 높이의 슬림한 디자인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번 신제품에는 정전기 발생을 줄여주는 은사(銀絲)가 포함된 융 소재의 ‘소프트 마루 브러시’를 적용해 더욱 강력해졌다.
‘소프트 마루 브러시’가 적용된 ‘파워봇’ 신제품은 278mm의 넓은 브러시를 분당 최대 1150회 회전시켜 바닥에 붙어 있는 먼지를 띄운 뒤 강력한 흡입력으로 말끔하게 제거한다.
또한 ‘파워봇’에는 브러시와 벽면 사이 간격을 최소화한 ‘구석 청소’ 구조가 적용돼 브러시가 닿기 힘든 모서리까지 구석 구석 청소해 준다.
이번 신제품은 천장을 향해 있는 카메라로 집의 구조를 파악했던 기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바닥을 인식하는 센서까지 채용해 청소할 공간의 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매핑(Mapping)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파워봇’ 신제품은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을 통한 IoT 기능도 한층 강화돼 △예약·원격제어·히스토리 관리 기능은 물론 △요일마다 다른 시간대에 청소 예약을 할 수 있는 ‘멀티 예약’ 기능 △‘방해 금지 시간’ 설정 등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맞춤형 기능을 제공한다.
이 밖에 △전방 장애물을 인식해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풀뷰(Full View) 센서’ △리모컨의 레이저 포인팅을 통해 원하는 지점을 청소하는 ‘포인트 클리닝’ △바닥 소재에 따라 흡입력 세기를 조절하는 ‘바닥 자동감지 청소’ △통째로 물 세척이 가능해 유지 관리가 편리한 먼지통 △머리카락이나 반려 동물의 털의 엉킴을 최소화하는 ‘엉킴 방지 기능’ 등이 적용됐다.
‘파워스틱’은 사용 환경에 따라 스틱형과 핸디형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핸디 겸용 스틱 청소기로 부드러운 핸들링과 21.6V 고출력·대용량 배터리로 집안 구석구석까지 깔끔한 청소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파워스틱’ 신제품 역시 ‘소프트 마루 브러시’를 신규로 적용해 분당 최대 1440회 회전하며 마루에 달라 붙어 잘 보이지 않는 먼지까지 깔끔하게 제거한다.
이 제품은 셀프 스탠딩 구조로 다양한 공간에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버튼을 눌러 손쉽게 브러시를 분리할 수 있는 착탈형 브러시, 먼지통과 필터를 통째로 물세척 할 수 있는 ‘이지클린 먼지통’ 등이 적용돼 편리하다.
‘파워봇’은 골드·실버 색상의 2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출고가 기준 84만9000원~89만9000원이다.
‘파워스틱’은 메탈블랙 색상 1종으로 출고가 기준 39만9000원이다.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정유진 상무는 “프리미엄 무선 청소기 ‘삼성 제트’에 적용한 ‘소프트 마루 브러시’를 ‘파워봇’과 ‘파워스틱’에도 적용해 한국 주거공간에 최적화된 무선 청소기 라인업을 완성했다”며 “소비자들이 자신의 주거형태와 라이프스타일에 딱 맞는 무선 청소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무풍에어컨’ 갤러리 라인업 확대
삼성전자가 올 1월 출시한 ‘무풍에어컨’ 갤러리 제품의 인기에 힘입어 라인업을 대폭 확대한다고 1일 밝혔다.
삼성전자 모델이 무풍에어컨 갤러리의 신규 라인업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모델이 무풍에어컨 갤러리의 신규 라인업을 소개하고 있다
‘무풍에어컨’ 갤러리는 직바람 없이 시원한 무풍 냉방에 바람문까지 없앤 혁신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작은 면적의 주거공간에 적합한 모델을 추가해 달라는 시장 요구를 적극 반영해 탄생했다.
1일 신규로 출시된 제품은 적은 면적 주거 공간에 최적화해 외관이 한층 슬림해졌다.
폭이 77mm줄어 40cm에 가깝고 높이와 깊이도 각각 80mm, 최대 70mm 가량 줄어 컴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했다.
이밖에 기존 ‘무풍에어컨’ 갤러리의 장점인 △강력한 냉기를 집 안 곳곳 빠르게 보내주는 ‘써큘레이터 급속 냉방’ △1.5배 더 많아진 마이크로 홀을 통해 냉기를 균일하게 전달하는 ‘와이드 무풍 냉방’ △PM1.0 필터 시스템으로 0.3㎛의 미세한 먼지 입자까지도 빠르게 제거하는 청정 기능 △‘뉴 빅스비’로 업그레이드된 인공지능 서비스 등은 그대로 적용됐다.
‘무풍에어컨’ 갤러리 신규 라인업은 56.9㎡·62.6㎡의 냉방 면적과 캔버스 브라운·캔버스 그레이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하단 패널 색상 선택에 따라 총 14개 모델로 운영된다.
출고가는 벽걸이형 무풍 에어컨이 포함된 홈멀티 세트 기준 335만원~390만원이다(단품 기준 출고가는 279만4000원~329만4000원)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이재환 상무는 “더욱 심플하고 슬림한 디자인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무풍에어컨’ 갤러리 라인업을 확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에어컨 시장을 지속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9년형 ‘무풍에어컨’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뉴질랜드·스위스·핀란드 등 해외 유명 청정 지역 탐방 기회를 제공하는 ‘무풍 투어’ 이벤트를 4월 중순부터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