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0 09:16
삼성전자가 8K 영화 ‘언택트’의 글로벌 버전을 19일 공개한다.
삼성전자 8K 영화 ‘언택트’ 글로벌 버전 주요 장면
삼성전자 8K 영화 ‘언택트’ 글로벌 버전 주요 장면
삼성전자가 제작하고 김지운 감독이 연출한 8K 영화 ‘언택트’를 향한 국내외 팬들의 성원에 응답해 영문 자막을 적용한 버전을 새롭게 선보이는 것.
8K 영화 ‘언택트’는 10월 16일 공개 이후 한 달 만에 610만뷰를 돌파하고 2600여개 댓글이 게재되며 흥행 중이다. 공개된 영상에는 주연배우 김고은, 김주헌의 열연과 영화의 완성도에 대한 호평과 함께 영문 자막을 요청하는 전 세계 영화 팬들의 댓글이 이어졌다.
삼성전자는 영화 ‘언택트’의 8K 초고화질 버전도 이날 온라인을 통해 함께 공개한다. 8K 버전 영상은 국문으로 선공개되며 8K 화질을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다면 누구나 8K 초고화질로 생생하게 영화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삼성 ‘QLED 8K’를 이용하면 기본 탑재된 유튜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더욱 간편하게 관람 가능하다. 영화 ‘언택트’는 ‘갤럭시 S20’와 ‘갤럭시 노트20’를 활용해 촬영한 삼성전자 최초의 8K 영화로 ‘QLED 8K’로 감상할 때 감독이 의도한 디테일까지 세밀하게 구현된다.
영화 ‘언택트’ 8K 버전의 영문 자막 영상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의 독보적인 8K 영상 기술로 소통에 대한 희망을 그려낸 뜻깊은 시도에 많은 소비자가 공감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8K 생태계를 일상에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가겠다고 밝혔다.
영화 ‘언택트’의 영문 자막 버전 영상은 삼성전자 글로벌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되며, 8K 버전 영상은 삼성전자 국내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감상할 수 있다.
삼성전자 글로벌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lrcn5D-cpi0
‘언택트’ 8K 버전 영상: https://youtu.be/MjAooepk_TI
분류 전체보기
- 삼성전자, 전 세계 영화 팬 성원으로 8K 영화 ‘언택트’ 글로벌 버전 공개 2023.12.11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2 5G·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 출시 2023.12.11
- 삼성전자, 식기세척기 올해 글로벌 판매 100만대 돌파 2023.12.11
- 삼성전자, 맞춤형 가전 체험공간 ‘나답게 스튜디오’ 오픈 2023.12.11
- 삼성전자, ‘비스포크 상업용 에어컨’ 출시 2023.12.11
- 삼성전자, 갤럭시 기기 위치 확인 서비스 ‘스마트싱스 파인드’ 글로벌 출시 2023.12.11
- 삼성전자, 2020년 3분기 실적 발표 2023.12.11
- 삼성전자, 인공인간 프로젝트 ‘네온’ 국내 파트너와 사업협력 개시 2023.12.11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별세 2023.12.08
- 삼성전자, 8K로 찍고 8K로 보는 영화 ‘언택트’ 공개 2023.12.08
삼성전자, 전 세계 영화 팬 성원으로 8K 영화 ‘언택트’ 글로벌 버전 공개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2 5G·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 출시
2020-11-20 09:00
삼성전자가 세련된 디자인으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레더 커버(leather cover) 2종을 20일 출시한다.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는 ‘갤럭시 Z 폴드2 5G’의 6.2형 커버 디스플레이부터 뒷면 글라스까지 완전하게 감싸 스마트폰의 모든 면을 안전하게 보호해준다. 스마트폰을 가방에 넣어 다닐 때나 옷 주머니 안에서도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천연 가죽의 고급스러운 질감과 슬림한 디자인의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는 플립이 닫혔을 때뿐만 아니라 펼쳐진 상태에서도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며, 플립형 전면 커버를 열면 커버 디스플레이 화면이 켜지고 닫으면 자동으로 화면이 꺼진다.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는 브라운과 블랙 2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가격은 9만9000원이다. 삼성전자는 천연 가죽 소재로 뒷면 글라스를 보호할 수 있는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커버’도 판매하고 있다.
또한 무선 이어폰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를 처음으로 출시한다.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는 겉면에 엄선된 천연 가죽을 사용해 부드러우면서 손에 착 감기는 그립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안쪽은 고강도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사용해 내구성까지 겸비한 것이 특징이다.
슬림하고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의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는 조약돌 무늬의 텍스처에 그레이와 네이비 색상이 어우러져 ‘갤럭시 버즈 라이브’의 스타일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해준다.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 가격은 2만2000원이다.
‘갤럭시 Z 폴드2 5G 레더 플립 커버’와 ‘갤럭시 버즈 라이브 레더 커버’는 삼성전자 홈페이지와 전국 삼성디지털프라자, 쿠팡·11번가·G마켓·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 온라인 오픈마켓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삼성전자, 식기세척기 올해 글로벌 판매 100만대 돌파
2020-11-16 11:00
삼성전자가 올해 11월 2주차까지 전 세계 시장에 판매한 식기세척기 수량이 100만대를 돌파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식기세척기
삼성전자 비스포크 식기세척기
삼성전자는 시장별로 최적화된 라인업 확대와 차별화된 제품력을 기반으로 미국·유럽 등 식기세척기 주요 시장에서 크게 성장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냉장고에 이어 자신의 취향에 따라 패널을 교체할 수 있는 ‘비스포크(BESPOKE) 식기세척기’를 도입한 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는 고압의 물살을 뿜어내는 바(Bar)가 물을 위쪽으로 반사시켜 구석구석 세척해주는 ‘리니어 워시(Linear Wash)’, 맨 아래 단에 놓인 식기까지 잘 세척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물살을 쏘아주는 ‘존 부스터(Zone Booster)’, 기름기가 많이 묻은 식기를 애벌 세척없이 강력하게 닦아 주는 회전 물살 ‘스톰 워시(Storm Wash)’, 자동문열림 기능 등이 호평받고 있다(해외 판매 제품에 적용된 기능으로 국내 판매 모델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미국에서는 현지 시장 조사업체인 JD파워가 발표한 ‘2020 생활가전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서 삼성 식기세척기가 1위로 선정된 바 있다.
유럽의 경우 현지 시장점유율 1위인 냉장고와 함께 오븐, 인덕션, 식기세척기 등 주방 가전이 패키지로 판매되는 비중이 늘면서 식기세척기 판매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냉장고에 이어 직화오븐, 전자레인지, 인덕션, 식기세척기 등 주방가전 전체로 비스포크 콘셉트를 확장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비스포크 식기세척기는 총 아홉 가지의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식문화에 최적화된 기능과 강력한 세척력까지 갖춘 점이 주요 구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밥·국을 담는 오목한 그릇이 많은 한국의 식생활에 맞춰 국내 최초 4단 세척 날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하단 720도 세척 날개를 적용했고, 75도 고온수로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99.999% 제거하는 살균세척, 수도관의 녹물 등을 제거해주는 2중 마이크로 필터(별매 제품), 세척이 끝나면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자동 열림 건조’ 기능과 함께 건조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메탈 소재의 고급스러운 다용도 바구니 등이 인기다.
DW60T70 대상, 표준코스+살균세척, 내부세척 코스에 대해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균을 99.999% 살균하는 시험을 했으며 실사용 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시험기관 인터텍, 시험 방법은 균주를 도포한 시험 용기를 식기세척기에 투입한 후 투입 전후 균수를 측정).
DW60T70 대상, 표준코스+살균세척에 대해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를 99.999% 살균하는 시험을 했으며 실사용 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전임상학실 실험 결과).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식기세척기 신제품을 6월 선보인 이후 올 3분기 국내 식기세척기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약 4배나 증가했다. 국내 식기세척기 보급률이 아직 10%대 초반에 그치는 점을 고려하면 주목할만한 성과다.
정유진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삼성 식기세척기가 우수한 제품력을 인정받아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며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비스포크 식기세척기를 향후 해외에도 도입해 ‘비스포크 가전’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맞춤형 가전 체험공간 ‘나답게 스튜디오’ 오픈
2020-11-15 10:20
삼성전자가 다양한 소비자 맞춤형 가전을 더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도록 ‘나답게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삼성전자가 다양한 소비자 맞춤형 가전을 더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도록 ‘나답게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삼성전자가 다양한 소비자 맞춤형 가전을 더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도록 ‘나답게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나답게 스튜디오는 삼성전자의 가전제품 통합 슬로건인 ‘가전을 나답게’를 잘 반영한 ‘비스포크’ 주방 가전, ‘그랑데 AI’ 세탁기·건조기, 라이프스타일 TV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삼성전자는 11월 13일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을 시작으로 2021년 1월 말까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롯데백화점 본점·부산 본점, AK백화점 수원점 등 전국 주요 백화점 20개 지점에서 나답게 스튜디오를 운영할 예정이다.
나답게 스튜디오는 소비자가 삼성전자의 맞춤형 가전을 더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존으로 구성됐다.
△비스포크 냉장고·조리 기기 등을 체험할 수 있는 비스포크 키친존 △QLED 8K, 라이프 스타일 TV로 구성된 TV존 △공기청정기 ‘무풍큐브’와 ‘비스포크 큐브’ 냉장고로 꾸며진 큐브존 △그랑데AI, 의류 청정기 ‘에어드레서’를 중심으로 한 의류케어존 등이 대표적이다.
또 제품 체험 외에도 다양한 현장 이벤트와 함께 미션을 수행한 참가자 대상으로 한정판 굿즈를 증정하며 이번 행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게는 품목별 최대 50만원 상당의 혜택도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한국총괄 정호진 상무는 “나답게 스튜디오는 비스포크 냉장고를 시작으로 가전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는 삼성 가전 제품을 소비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며 “이 행사가 소비자들이 자신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을 발견하고 가전을 나답게 사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상업용 에어컨’ 출시
2020-11-01 11:00
삼성전자가 강력한 냉·난방 성능에 감각적인 디자인을 적용한 비스포크(BESPOKE) 상업용 스탠드 에어컨을 1일 선보인다.
비스포크 상업용 스탠드 에어컨 제품
비스포크 상업용 스탠드 에어컨 제품
삼성전자는 지난해 비스포크 냉장고를 선보인 이후 직화오븐,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인덕션 등 다양한 가전에 비스포크 콘셉트를 적용했다.
이번 신제품은 상업용 제품으로는 처음 비스포크 콘셉트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획일적인 백색 디자인에서 벗어나 ‘프라임 핑크’, ’콰이어트 그레이’, ’세이지 블루’ 등 세련된 파스텔톤 색상 세 가지를 적용해 카페나 식당, 사무실 등 상업 공간에 맞춰 인테리어를 완성할 수 있다.
조작부에는 히든 디스플레이(hidden display) 디자인과 직관적인 버튼을 적용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더했다.
비스포크 상업용 에어컨은 한 대로 냉·난방이 모두 가능해 여름에는 시원한 에어컨으로 겨울에는 따뜻한 온풍기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최대 20미터까지 강력한 바람을 내보내 실내 구석구석까지 빈틈없는 냉·난방이 가능하고 특히 난방의 경우 영하 25도부터 영상 24도까지, 냉방의 경우 영하 15도부터 영상 50도까지 극한의 실외 온도에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자동 냉방온도 제어 기능과 난방 시 가동 초기 찬바람이 나오지 않도록 설계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삼성전자는 추후 비스포크 상업용 에어컨의 색상을 확대하고 2021년 초에는 상업 공간 분위기에 맞춰 패널만 따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전면 패널을 별도로 출시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에 이어 한국표준협회의 ‘2020년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발표에서 시스템냉난방기 부문 1위에 선정됐다.
이기호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상업용 에어컨도 가정용처럼 공간 인테리어에 맞는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많았다”며 “강력한 성능은 기본에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이는 비스포크 상업용 에어컨을 통해 매장이나 사무실 등 상업 공간의 품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갤럭시 기기 위치 확인 서비스 ‘스마트싱스 파인드’ 글로벌 출시
2020-10-30 09:39
삼성전자가 BLE(Bluetooth Low Energy)·UWB(Ultra-WideBand) 기술을 활용, 갤럭시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스마트싱스 파인드(SmartThings Find)’를 30일 전 세계에 출시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기기 위치 확인 서비스 스마트싱스 파인드 글로벌을 출시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기기 위치 확인 서비스 스마트싱스 파인드 글로벌을 출시했다
‘스마트싱스 파인드’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에 접속해 간단한 등록 절차만 완료하면 즉시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 파인드’로 위치 확인이 가능한 기기는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워치, 이어버즈(좌·우 각각) 등이다. 현재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안드로이드 8 운영체제 이상 제품, 스마트워치는 타이젠 5.5 운영체제 이상 제품, 이어버즈는 ‘갤럭시 버즈 플러스’와 ‘갤럭시 버즈 라이브’가 여기에 해당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파인드’ 정식 출시에 앞서 한국·미국·영국 등 3개국 사용자 600만명을 대상으로 약 2개월간 사전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스마트싱스 파인드’ 사용자는 본인이 등록해둔 기기의 네트워크나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 파인드’에 등록된 단말이 30분 이상 오프라인 상태면 자체적으로 BLE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 신호가 본인 동의 절차를 거친 주변 스마트싱스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스마트싱스 파인드’ 사용자가 스마트싱스 앱으로 기기 분실 사실을 알리면 신고된 기기 인근 단말이 스마트싱스 서버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구조다.
위치 확인 과정에서 활용되는 데이터는 사전 설정을 통해 100% 암호화 과정을 거쳐 안전하게 처리되므로, 찾으려는 기기의 위치 정보는 신고자 외엔 누구에게도 공유되지 않는다.
‘스마트싱스 파인드’에 등록된 기기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등록 기기를 분실했을 경우, 스마트싱스 앱을 열고 찾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면 해당 단말의 위치가 지도 위에 표기된다. 사용자가 분실 기기에 접근했을 때 알림음이 울리게 해 그 소리를 듣고 기기를 찾을 수도 있다. UWB 기술이 탑재된 단말 사용자라면 증강현실(AR) 기반 ‘서치 니어바이(Search Nearby)’ 기능을 활용, 분실 단말의 위치를 컬러 그래픽으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재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스마트싱스 팀장)는 “시각(지도)과 청각(알림음)은 물론, AR의 특성까지 고려해 설계된 ‘스마트싱스 파인드’는 갤럭시 사용자의 소중한 기기를 분실 위험에서 안전하게 지켜주는 서비스”라며 “특히 UWB 탑재 단말 사용자에겐 새롭고 의미 있는 모바일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상무는 “위치 추적 태그를 이용해 ‘스마트싱스 파인드’ 서비스가 더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업계 선도 업체들과도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스마트싱스 파인드’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앱 신규 소프트웨어는 30일부터 안드로이드 8 운영체제 이상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용자를 대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앱 업데이트 후 홈스크린 상단의 ‘스마트싱스 파인드’ 배너를 클릭, 서비스 가입 절차를 완료하면 된다.
‘스마트싱스 파인드’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삼성닷컴 내 스마트싱스 홈페이지나 스마트싱스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 2020년 3분기 실적 발표
2020-10-29 11:06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6.96조원, 영업이익 12.35조원의 2020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에는 세트 제품 수요가 예상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글로벌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관리)을 활용한 적기 대응으로 판매량이 크게 확대됐고, 부품 사업 수요가 모바일 중심으로 회복돼 매출은 전분기 대비 26.4%,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으며 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적극적 비용 효율화 노력 등으로 전분기 대비 4.2조원 증가한 12.35조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도 18.4%로 큰 폭으로 개선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메모리 업황 개선과 세트 제품 판매 호조 등으로 영업이익과 이익률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메모리 반도체는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모바일과 PC 등의 견조한 수요 속에 기존 가이던스 대비 출하량이 증가하고 지속적인 원가 개선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시스템LSI 주요 모바일 부품 수요 회복과 파운드리 주요 고객사에 대한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용 칩 등의 수주 확대로 실적이 개선됐다.
DP(Display Panel)는 중소형 패널 주요 고객들의 신제품 판매 확대와 대형 패널 수급 환경 개선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단, 전년 동기 대비로는 중소형 패널 주요 고객의 신제품 출시 일정이 예년 대비 지연돼 실적이 감소했다.
IM(IT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의 무선은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약 50% 급증함에 따라 규모의 경제 효과가 확대되고 비용 효율 제고로 수익성이 개선돼 전분기 대비 실적이 대폭 성장했다.
CE 부문은 수요가 큰 폭으로 확대된 가운데, 글로벌 SCM을 활용한 적기 대응으로 프리미엄 TV와 가전제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모두 크게 개선됐다.
3분기 환영향과 관련해, 원화 대비 달러화 약세·유로화 강세로 세트 사업에 일부 긍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부품 사업의 부정적 영향이 이를 상쇄하며 전체 영업이익에 대한 환영향은 미미했다.
◇향후 전망
4분기는 서버 메모리 수요 약세 지속과 세트 사업 경쟁 심화 등으로 전체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는 첨단공정 전환 확대와 모바일·노트북 수요 견조세에도 불구하고, 고객사 재고 조정에 따른 서버 가격 약세와 신규라인 초기 비용 등으로 수익성 감소가 전망된다.
시스템 반도체는 시스템LSI 5나노 SoC(System on Chip) 공급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파운드리 고객들의 HPC용 칩과 모바일 SoC 주문 확대가 예상된다.
DP의 경우, 중소형 패널은 3분기 대비 판매가 큰 폭으로 확대돼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 패널은 계획대로 QD 디스플레이 준비를 지속하면서, LCD 수요에 차질 없이 대응할 예정이다.
IM 부문의 무선은 스마트폰 매출 하락과 경쟁이 심화되는 분기를 맞이해 마케팅비가 증가하며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
CE 부문은 연말 성수기 수요는 견조할 것이나, 경쟁 심화와 원가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 둔화가 예상된다.
2021년은 글로벌 수요 회복이 기대되지만,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등 불확실성은 상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품 사업은 차세대 공정 전환과 적기 투자 등 시장 리더십 강화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메모리는 첨단공정 확대 지속과 탄력적인 제품 믹스 운영으로 시장 리더십을 제고할 예정이다.
투자는 중장기 수요 대응 준비와 함께 단기적으로 시장 상황에 맞춰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투자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시스템LSI는 5G SoC와 고화소 센서 시장에 차별화 제품으로 적극 대응하고, 파운드리는 HPC 등 응용처 다변화와 대형 고객 확보를 통해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DP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차별화된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실적 개선을 추진하고, 대형 패널은 QD 디스플레이의 성공적 출시에 주력할 예정이다.
세트 사업은 프리미엄 라인업 강화와 운영 효율화 등 수익성 개선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IM 부문의 무선은 판매 확대와 수익성 제고를 위해 폴더블과 5G 라인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네트워크는 5G 상용화와 신규 수주 확대 등 글로벌 사업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CE 부문은 프리미엄 라인업 확대와 온라인·B2B 사업 강화 등을 통해 지속 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부문별 세부 내용
△ 반도체
반도체는 3분기 매출 18.8조원, 영업이익 5.54조원을 기록했다.
3분기 메모리 사업은 서버 수요는 다소 약세였으나, 모바일과 PC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신규 게임 콘솔용 SSD 판매를 확대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4분기는 D램의 경우 서버 수요 약세는 지속되나, 모바일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1z 나노 D램 전환을 확대하고 적기 판매를 통해 원가 경쟁력 강화를 지속할 방침이다.
낸드의 경우, 모바일과 노트북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6세대 V낸드 전환 확대를 지속 추진해 기술 리더십과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2021년은 모바일 수요 강세와 5G 확산이 지속되는 가운데, 선제적으로 수요를 파악해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첨단공정 전환 가속화로 제품 경쟁력을 지속 확보할 방침이다.
3분기 시스템LSI 사업은 DDI(Display Driver IC), CIS(CMOS Image Sensor) 등 모바일 부품 수요 회복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4분기는 최첨단 5나노 공정을 적용하고 5G 모뎀을 내장한 원칩 SoC 제품 공급을 본격화하며 모바일 SoC사업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다.
2021년은 스마트폰 수요 증가로 시장 회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가 견조한 5G SoC, 고화소 센서, DDI 등을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3분기 파운드리 사업은 모바일 수요 회복과 HPC용 수요 증가로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4분기는 최대 매출을 지속 갱신할 수 있도록 모바일 SoC와 HPC용 제품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2021년은 모바일 외에도 HPC·네트워크 등 응용처 다변화를 지속 추진하고 대형 고객을 추가 확보해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강화해 큰 폭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3분기 매출 7.32조원, 영업이익 0.47조원을 기록했다.
3분기 디스플레이 사업은 스마트폰·TV·모니터용 패널 판매가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스마트폰 수요가 점차 회복되는 가운데,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에 따라 OLED 패널 판매가 확대됐다.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초대형 TV, 고성능 모니터 패널 판매 증가와 평균 판매가격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가 소폭 개선됐다.
4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고부가 제품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해 매출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한편,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고객사 요구에 차질 없이 대응하면서 신기술 기반의 사업구조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2021년 중소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5G 스마트폰 시장 확대에 맞춰 차별화된 기술을 적용하고 원가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며, 대형 디스플레이 사업은 QD 디스플레이를 적기 개발해 프리미엄 TV 제품군 내 사업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 IM(IT & Mobile Communications)
2020년 3분기 IM 부문은 매출 30.49조원, 영업이익 4.45조원을 달성했다.
3분기 시장 수요는 주요 국가들의 경기부양 효과 등으로 크게 증가했다.
무선 사업은 갤럭시 노트20, Z폴드2 등 플래그십 모델을 출시하면서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약 50% 가량 크게 증가했다.
매출 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와 더불어 비용 효율 제고 노력과 효율적인 마케팅비 집행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태블릿과 웨어러블 제품 판매가 증가한 것도 이익 확대에 기여했다.
또한 네트워크 사업에서는 미국 버라이즌과 대규모 이동통신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5G 사업 성장 기반을 강화했다.
4분기는 연말 성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 사업의 경우, 플래그십 모델 출시 효과 감소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연말 시장 경쟁 심화와 마케팅비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트워크 사업에서는 국내 5G 장비 공급 확대와 함께 북미, 일본 등의 글로벌 5G 시장 확대를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2021년은 점진적인 경기 회복 전망과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글로벌 5G 확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시장 수요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 사업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품 경쟁력 강화와 대중화 추진 등 플래그십 라인업을 차별화하는 한편, 중저가 5G 스마트폰 라인업도 강화해 스마트폰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제품 믹스 개선과 운영 효율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도 기울일 예정이다.
네트워크 사업은 글로벌 5G 신규 수주를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국내외 5G 상용화에 적기 대응해 글로벌 사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 CE(Consumer Electronics)
CE 부문은 2020년 3분기 매출 14.09조원, 영업이익 1.56조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와 전분기 대비 실적이 모두 크게 개선됐다.
3분기는 각국의 경기 부양 효과, 주요 국가 중심으로 펜트업(Pent Up) 수요 효과 등으로 TV와 생활가전 시장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글로벌 SCM 역량을 바탕으로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했다.
TV는 증가한 TV 교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최근 소비자 트렌드에 맞춘 QLED, 초대형TV 등 프리미엄 제품 마케팅으로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BESPOKE) 냉장고, 그랑데AI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위생 가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건조기, 에어드레서 등의 판매도 증가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4분기는 전통적인 계절적 성수기로 시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나,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은 계속 이어지고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온라인 판매 인프라를 강화해 QLED, 라이프스타일 TV 등 프리미엄 TV 판매를 확대하고 초대형 TV 시장 주도권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생활가전도 성수기 프로모션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온라인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2021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변화,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한편, 기술적으로 더욱 진화된 QLED와 가정용 마이크로 LED 같은 초고화질 TV와 초대형 TV 시장을 선도하고, ‘더 테라스(The Terrace)’·‘더 프리미어(The Premiere)’ 등 라이프스타일 TV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생활가전도 비스포크 등 프리미엄 라인업을 강화하고, 시장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마케팅과 온라인·B2B 사업 강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
삼성전자는 수자원 관리가 사업장 환경보호의 시작이자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영활동으로 보고 지난 10년 이상 수자원을 아껴 쓰고 재사용하고 재활용하는 3R(Reduce, Reuse, Recycle)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용수 사용량 저감을 사업장 경영지표로 관리해 왔다.
이러한 수자원 관리를 위한 노력을 인정받아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은 지난 9월 22일에 영국의 친환경 인증 기관인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반도체 업계 최초로 조직단위 ‘물발자국’ 인증을 받았다.
조직단위 ‘물발자국’ 인증은 3년간 사업장에 사용한 용수량과 용수 관리를 위한 경영체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한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코발트 채굴 중 야기되는 인권침해, 환경파괴 등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삼성전자는 2019년 9월에 삼성SDI, 독일 국제협력공사, BMW 그룹, 바스프(BASF)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코발트 채굴을 위한 산업간 협력 프로젝트(Cobalt for Development)’를 론칭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1년간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 지원 등 1800여명의 지역 주민들에게 혜택을 제공했다.
또, 삼성전자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채굴 노동자를 대상으로 인권·환경·안전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20일에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Interbrand)가 발표한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에서 브랜드 가치가 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톱(Top)5’에 진입했다.
삼성전자는 브랜드 가치가 사상 최대인 623억달러를 기록, 2017년에 6위를 달성한 이후 3년 만에 ‘글로벌 톱5’로 도약했다.
인터브랜드는 삼성전자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지속가능경영 활동 등이 브랜드 가치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반영됐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환경·사회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인공인간 프로젝트 ‘네온’ 국내 파트너와 사업협력 개시
2020-10-29 10:03
삼성전자의 미래 기술 사업화 벤처 조직인 ‘스타랩스(STAR Labs)’의 ‘인공인간(Artificial Human)’ 프로젝트 ‘네온(NEON)’이 국내 전략 파트너와 사업협력을 시작했다.
왼쪽부터 삼성전자의 스타랩스장 프라나브 미스트리 전무와 CJ올리브네트웍스의 차인혁 대표가 인공인간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삼성전자의 스타랩스장 프라나브 미스트리 전무와 CJ올리브네트웍스의 차인혁 대표가 인공인간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0’에서 최초로 공개한 네온 인공인간은 가상의 존재지만 실제 사람과 같은 형상과 표정으로 사용자에게 반응하고 기억을 학습해 나갈 수 있다.
실제(Reality)와 같은 인공인간의 자연스러운 형상과 행동을 실시간(Realtime) 그리고 반응형(Responsive)으로 제공하는 ‘코어 R3(CORE R3)’ 소프트웨어가 스타랩스에서 개발 중인 핵심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해 네온은 개인화된 뉴스를 전달해주는 AI 앵커나 제품을 추천해주는 쇼핑 호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매장이나 공항 등에서 직원을 도와 고객 응대를 제공하는 점원이 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와 대화하고 도움을 주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될 수도 있다.
향후 스타랩스는 네온을 활용해 두 가지 기업용 서비스 모델을 제공할 예정이다.
하나는 네온을 활용한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제작(NEON Content Creation)’ 서비스 모델로, 미디어·교육·리테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형태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다른 하나는 앱·웹·리테일 환경에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고객 응대 서비스형 ‘네온 워크포스(NEON WorkForce)’ 모델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스타랩스는 23일 CJ올리브네트웍스와 인공인간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언택트로 진행된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인공인간 AI 기술 공동 협력과 인공인간 기반 미디어 사업협력을 하기로 했으며, 상호 발전과 우호 증진에 필요한 사항들을 적극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CJ는 네온을 활용해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콘텐츠 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으로 그 첫 번째 프로젝트로 가상 인플루언서를 선정,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함께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CJ그룹의 CDO(Chief Digital Officer)를 겸하고 있는 CJ올리브네트웍스 차인혁 대표는 “인공지능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인공인간 분야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스타랩스의 AI와 버추얼 영상 기술이 총망라된 네온에 CJ올리브네트웍스가 보유한 AI, 빅데이터 등 IT역량과 CJ 그룹의 콘텐츠 제작 경쟁력을 더하여 변화하는 비주얼 콘텐츠 트렌드 및 새로운 소비자 니즈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스타랩스장 프라나브 미스트리 전무는 “K-콘텐츠 리더인 CJ와 함께 협업을 하게 돼 기쁘다”며 “네온의 기술을 통해 콘텐츠 제작의 방식과 스케일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랩스는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만간 국내 한 금융사와도 업무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며, 네온의 인공인간 기술 고도화를 통해 각 분야 고객들에게 보다 새롭고 편리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네온의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네온 웹페이지: http://www.neon.life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별세
2020-10-25 10:20
삼성전자 이건희(李健熙) 회장이 2020년 10월 25일 별세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삼성 측은 장례는 고인과 유가족의 뜻에 따라 간소하게 가족장으로 치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건희 회장은 1987년 회장으로 취임한 이래 삼성을 ‘한국의 삼성’에서 ‘세계의 삼성’으로 변모시켰다. 그간 이룩한 경영성과는 취임 당시 10조원이었던 매출액이 2018년 387조원으로 약 39배 늘었으며, 이익은 2000억원에서 72조원으로 259배, 주식의 시가총액은 1조원에서 396조원으로 무려 396배나 증가했다.
이러한 외형적인 성장 외에 선진 경영시스템을 도입하고 도전과 활력이 넘치는 기업문화 만들어 경영체질을 강화하며 삼성이 내실 면에서도 세계 일류기업의 면모를 갖추도록 했다.
1993년 이건희 회장은 <삼성 신경영>을 선언하고 경영 전 부문에 걸친 대대적인 혁신을 추진했다. 이 회장은 혁신의 출발점을 ‘인간’으로 보고 ‘나부터 변하자’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인간미와 도덕성, 예의범절과 에티켓을 삼성의 전 임직원이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로 보고, 양을 중시하던 기존의 경영관행에서 벗어나 질을 중시하는 쪽으로 경영의 방향을 선회했다.
이같은 노력을 통해 삼성은 1997년 한국경제가 맞은 사상 초유의 IMF 위기와 2009년 금융 위기 속에서도 성장 2020년 브랜드 가치는 623억 불로 글로벌 5위를 차지했고 스마트폰, TV, 메모리반도체 등 20개 품목에서 월드베스트 상품을 기록하는 등 명실공히 세계 일류기업으로 도약했다.
이건희 회장의 경영철학은 ‘인간중시’와 ‘기술중시’를 토대로 질 위주 경영을 실천하는 ‘신경영’이다. 신경영 철학의 핵심은 현실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자기반성을 통해 변화의 의지를 갖고, 질 위주 경영을 실천해 최고의 품질과 최상의 경쟁력을 갖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세계 초일류기업이 되자는 것이다.
이는 삼성의 경영이념인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의 발전에 공헌한다’에 잘 나타나 있다.
이건희 회장은 학력과 성별, 직종에 따른 불합리한 인사 차별을 타파하는 열린 인사를 지시했고, 삼성은 이를 받아들여 ‘공채 학력 제한 폐지’를 선언했다. 삼성은 이때부터 연공 서열식 인사 기조가 아닌 능력급제를 전격 시행했다.
이건희 회장은 인재 확보와 양성을 기업경영의 가장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했으며, 삼성의 임직원들이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물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지역전문가, 글로벌 MBA 제도를 도입해 5000명이 넘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했다.
이건희 회장은 인재제일의 철학을 바탕으로 ‘창의적 핵심인재’를 확보하고 양성하는데도 힘썼다. 인재 육성과 함께 이건희 회장은 기술을 경쟁력의 핵심으로 여겨 기술인력을 중용함으로써 기업과 사회의 기술적 저변을 확대했다.
사업에서는 반도체 산업이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하며, 한국과 세계경제의 미래에 필수적인 산업이라 판단하고 1974년 불모지나 다름없는 환경에서 반도체사업에 착수했다.
이후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과감한 투자로 1984년 64메가 D램을 개발하고 1992년 이후 20년간 D램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지속 달성해 2018년에는 세계시장 점유율 44.3%를 기록했다.
이런 점유율의 배경에는 2001년 세계 최초 4기가 D램 개발, 세계 최초 64Gb NAND Flash 개발(2007), 2010년 세계 최초 30나노급 4기가 D램 개발과 양산, 2012년 세계 최초 20나노급 4기가 D램 양산 등의 ‘기술이 있었다. 또한 ’기술에 의해 풍요로운 디지털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는 이 회장의 믿음에 의해 가능했다.
이건희 회장은 사회공헌활동을 기업에 주어진 또 다른 사명으로 여기고, 이를 경영의 한 축으로 삼도록 했다. 삼성은 국경과 지역을 초월하여 사회적 약자를 돕고 국제 사회의 재난 현장에 구호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1994년 삼성사회봉사단을 출범시켜 조직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으로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첨단장비를 갖춘 긴급재난 구조대를 조직해 국내외 재난 현장에서 구호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맹인 안내견 등 동물을 활용하는 사회공헌도 진행한다.
이건희 회장의 독특한 경영철학은 임직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매년 연인원 50만명이 300만 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고아원, 양로원 등의 불우 시설에서 봉사하고 자연환경 보전에 땀 흘리고 있다.
한편 이건희 회장은 IOC 위원으로서 스포츠를 국제교류와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촉매제로 인식하고, 1997년부터 올림픽 TOP 스폰서로 활동하는 등 세계의 스포츠 발전에 힘을 보탰다.
특히 이 회장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꾸준히 스포츠 외교 활동을 펼쳐,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평창이 아시아 최초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는데 크게 기여했다.
삼성전자, 8K로 찍고 8K로 보는 영화 ‘언택트’ 공개
2020-10-16 12:00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고 QLED TV로 감상하는 8K 영화 ‘언택트’를 16일 전격 공개한다.
연남동 삼성 8K 시네마의 전경, 삼성전자가 8K 영화 언택트를 관람할 수 있는 8K 시네마를 서울 연남동과 성수동에서 운영한다
연남동 삼성 8K 시네마의 전경, 삼성전자가 8K 영화 언택트를 관람할 수 있는 8K 시네마를 서울 연남동과 성수동에서 운영한다
8K 영화 언택트는 거장 김지운 감독이 연출과 각본을 맡고 김고은 배우와 김주헌 배우가 주연으로 참여한 단편영화로 도예 공방을 운영하며 브이로그를 즐기는 수진(김고은 분)과 해외 유학을 떠난 후 3년만에 귀국한 성현(김주헌 분)의 연애 이야기를 감성적으로 다룬다.
비대면이 일상화된 뉴 노멀 시대를 배경으로 서로 떨어져 있어도 사랑의 감정까지는 격리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삼성전자는 더 많은 소비자가 ‘8K로 찍고 8K로 보는’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로 이 영화를 공개한다.
삼성전자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극장을 콘셉트로 서울 연남동과 성수동에 ‘8K 시네마’를 마련하고 ‘QLED 8K’의 압도적인 고화질로 영화 언택트를 생생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8K 시네마에서는 영화 상영 외에도 최신 영상·모바일 기기들을 체험해볼 수 있는 다양한 공간도 마련했다. 최근 출시된 홈시네마 프로젝터 ‘더 프리미어(The Premier)’와 예술작품을 액자처럼 연출할 수 있는 ‘더 프레임(The Frame)’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TV 제품이 전시되며 ‘갤럭시 Z 폴드2’, ‘갤럭시 Z 플립 5G’ 등 모바일 신제품도 자유롭게 체험해 볼 수 있다.
연남동에 마련된 8K 시네마에서는 ‘갤럭시 필름 페스타존’을 두어 갤럭시 노트 20으로 소비자들이 직접 제작한 8K 영화 수상작들도 상영한다.
8K 시네마는 안전하고 쾌적한 관람을 위해 사전 예약과 현장 예약을 병행해 소규모 그룹으로 운영되며 예약 방문자들에 한해 마스크와 손세정제 등을 포함한 ‘언택트 패키지’도 제공한다.
또한 현장 이벤트 참가자들에게는 에코백, 포스터, 엽서, 핀버튼 등 영화 언택트의 특별한 굿즈를 담은 ‘무비 패키지’를 추가로 증정한다.
영화 언택트는 삼성전자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16일부터 감상할 수 있다. 온라인에서는 풀HD 버전으로 우선 공개하고 8K 버전 영상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이 영화는 삼성전자가 선도하는 8K 생태계를 더 많은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프로젝트로 대부분 장면을 삼성 ‘갤럭시 S20’과 ‘갤럭시 노트20’으로 촬영했으며 QLED 8K TV를 통해 영상에서 사운드까지 생생하게 전달한다.
김지운 감독은 “새로운 방식의 시도라 부담은 되지만 삼성전자와 함께 본격적인 8K 시대를 내딛는 작품을 선보이게 돼 기대가 크다”며 “8K 초고화질로 두 남녀의 감성적인 러브 스토리를 보다 심도 있게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우 김고은은 “8K 화질이 보여주는 특유의 영상미와 심층적인 연기에 주목해 달라”고 당부했으며 배우 김주헌은 “서로 만날 수 없는 인물들이 벽을 넘어 소통하는 모습이 많은 관객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한국총괄 마케팅 담당 윤태식 상무는 “8K로 찍고 8K로 보는 영화 언택트를 통해 소비자들이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8K 기술력과 생태계를 일상에서 더욱 즐겁게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공식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aG-2H-Ahh28